약 먹을 때 '독'이 되는 음식 조합
- ▶건강
- 2020. 11. 27. 10:00
반응형
<약 먹을 때 '독'이 되는 음식 조합>
반응형
<약 먹을 때 '독'이 되는 음식 조합>
1. 혈압약 먹을 때 콩 약효가 급격히 세져 두통, 빈맥, 관절통, 기립성저혈압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자몽 약효가 세지면서 혈압이 과도하게 낮아져 현기증, 빈맥 등이 생길 수 있다. 2. 위장약 먹을 때 우유 칼슘과 약이 만나면 혈중 칼슘 수치가 급격히 올라가 구토, 식욕 부진, 변비, 졸음 등이 생길 수 있다. 녹차 혈중 카페인 농도가 높아지면 중추신경이 흥분해 구토, 현기증, 위장 장애 등이 생길 수 있다. 멸치 철분과 속쓰림 완화 성분의 화학 반응으로 약 효과도 멸치의 영양 효능도 누리기 어렵다. 3. 감기약 먹을 때 빵이 해열제와 탄수화물이 만나면 서로 강하게 끌어당겨 성분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는다. 치즈 콧물 완화, 기침 진정시키는 성분이 치즈와 만나면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서 혈압이 급격히 상승한다. 미역 항생제 미역의 비타민A가 만나면 혈압이 상승하고, 뇌신경이 압박되어 극심한 두통이 생긴다. 4. 동맥경화약 먹을 때 브로콜리 브로콜리의 비타민K가 동맥경화약 성분의 효과를 떨어뜨린다. 딸기 딸기의 비타민C 때문에 약 성분이 몸속에 충분히 흡수되기 전에 분해돼서 약 효과가 떨어진다. 양파 양파의 혈액순환 성분으로 혈액순환 효과가 비정상적으로 강해져 뇌나 소화기관의 혈관에서 출혈이 일어나기 쉽다. 약과 함께 마시면 좋은 음료 환상의 궁합! 철분제+오렌지주스 철분은 비타민C를 만나면 흡수가 잘 된다. 아스피린+우유 우유가 위벽을 보호해줘 자극이 덜하다. 항진균제+콜라 콜라가 위의 산도를 높여 항진균제의 체내 흡수를 돕는다.
2020.11.28
2020.11.28
2020.11.26
2020.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