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 불만, 짜증을 통제하는 8가지 감정 관리법

반응형

<불평 불만, 짜증을 통제하는 8가지 감정 관리법>


1) 미리 예방하기

감정은 결코 이유 없이 폭발하지 않는다. 거기에는 원인도 있고, 반복되는 패턴도 있다. 사태가 발생한 뒤 조치하는 것보다는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좋듯이, 내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이유로 짜증을 내는지 미리 알아두면 많은 도움이 된다.

나의 짜증을 관리하고 그 패턴을 미리 알고 예방하면 짜증내는 일을 막을 수 있다. 짜증을 낸 다는 것은 내 마음대로 무언가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생긴다. 나의 욕심이나 이기심이 불합리하게 작동하는 경우 발생한다. 남에게 피해를 주는 짜증은 절대 나에게 이로울리 없다.

짜증은 특정 상황에서 반복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자신이 어떨 때 짜증이 나는지 미리 파악해두는 것만으로도 나의 잘못된 성격이나 버릇을 고칠 수 있다. 알고 있으면 예방이 가능하고 훨씬 마음이 편해진다.



2)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않기

대부분의 사람들은 불쾌한 상황이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반응한다. 그럴 때일수록 감정 표현을 최대한 늦추자. 1분, 아니 때로는 10초만 늦춰도 된다. 사실은 크게 심호흡 한번 하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있다. 

짜증날 때일수록 나의 성격과 버릇을 고스란히 밖으로 노출시키는 일이다. 참는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즉각적인 반응을 멈추고 차분해질 필요가 있다. 한번의 짜증이 더 많은 근심을 나을 수 있음을 잊지 말자



3) 타당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친구가 약속 시간에 늦게 나왔다고 치자. 짜증을 부리기 전에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면 어떨까. 옆 차량이 무리하게 앞지르기를 하려 들 때면 ‘급한 일이 있나 보다’ 생각해보자.

대중교통이 늦을 때는 ‘퇴근 시간이라 차가 많이 막히겠구나’ 생각해보자. 누군가 여러분을 짜증나게 했을 때도 마찬가지다. 그 상황을 부정적으로만 보는 건 아무 도움이 안 된다. 상대는 일부러 여러분의 짜증을 돋우려고 그러는 게 아니다. 모든 행동에서 선의를 읽어라. 나쁘게 바라볼수록 상황은 더 악화될 뿐이다.



4) 혼자 갇혀 있지 말기

너무 오래 혼자 있다 보면 다른 사람의 감정 읽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상황이 자기 본위로 돌아가지 않으면 짜증이 날 수 있고, 울적한 상태가 되어 작은 상황에도 민감해질 수 있다.

평소에 즐겁게 어울리는 시간을 자주 가지는 것이 짜증 등의 불쾌한 감정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5) 에너지 출구를 마련하기

우리는 짜증을 순간적인 것으로 치부한다. 결코 그렇지 않다. 눈으로 볼 때 돌발적일 뿐, 짜증은 우리 내면에 숨겨져 있다가 폭발하는 감정이다. 따라서 짜증이 쌓이는 그때그때 적절히 해소해주는 것이 좋다. 이를테면 몸을 움직여서 에너지를 발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각종 스포츠 활동은 물론 조깅이나 걷기만 해도 효과가 있다. 사진이나 그림 등의 적절한 취미 생활을 통해 에너지를 창조적으로 전환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6) 짜증이라고 해서 나쁜다는 공식을 버리기

경우에 따라 우리가 짜증을 내는 건 정당한 대우를 주장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짜증은 무조건 나쁜 것’이라는 고정관념은 부당하다. 

잘못된 상황에서는 그 잘못을 지적해야 정당한 대우를 받고 상대의 잘못된 행동도 바로잡을 수 있다. 다만 표현을 어떻게 완곡하게 할 것인지 고민하고 익혀야 된다. 말의 힘은 부드러울수록 더 강력한 법이다.



7) 상대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기

짜증은 상대가 나를 깔본다는 생각이 들 때 더 쉽게 생겨난다. 나보다 못한 것 같은 상대가 잘나갈 때 더 그렇다. 우리는 자기가 상대보다 우월하다고 느낄 때는 짜증을 잘 내지 않는다. 긍휼한 마음이라는 훌륭한 방패가 생겨서다. 

따라서 누군가로 인해 짜증이 난다면 어른이 아이를 보는 느낌으로 그를 바라보자. 돈에서든, 외모에서든, 인격에서든 그보다 나은 나의 장점은 반드시 존재한다. 한 부분에 치우쳐 나의 인격에 흠집을 남기지 말자. 더 나은 나의 장점에 집중해보자.



8) 가치 있는 일을 하기

사람은 스스로 무가치하다고 느낄 때 쉽게 부정적인 감정을 품게 된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더 화가 쌓인다. 그럴 때는 멍하게 있지 말고 몸을 움직이자. 가치 있는 일을 찾아서 하자. 스스로 뿌듯할 정도로 의미 있는 활동을 하자. 직업에서 그런 걸 찾기 어렵다면 봉사활동 통해서라도 가치 있는 일을 해보자. 

내가 어느 분야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쓰일 수 있다는 것, 나를 필요로 하는 데가 있다는 것은 나의 마음을 더 여유롭고 풍요롭게 만든다. 심적인 여유가 없을때 내 자신은 더 각박해질 수 있음을 잊지 말자. - 심리학이 청춘에게 묻다 -


반응형

Designed by JB FACTORY